Article
home

EQ란: EQ의 범주와 팁

생성일
2024/08/10 06:53
게시
2 more properties
EQ 시리즈 게시글 목록
지난 게시글, EQ란: EQ의 종류를 보고왔다면 이 게시글의 내용을 쉽게 이해 할것이다.

EQ의 범주

세상에 있는 EQ는 두가지 범주로 EQ를 구분할 수 있을것이다.
굳이 EQ를 두가지 범주로 나누는 이유는, 소리를 편집하는 엔지니어 입장에서 자신에게 유용한 도구들을 목적에 맞게 분류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야 상황에 맞는 도구를 쉽게 찾아내어 적용하여 편집자가 원하는 목적으로 수정 하며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갈 수 있다.

Surgical EQ

Surgical EQ의 범주에 속하는 ‘Fabfilter Pro-Q3’, 초록색 Control Dot이 정밀하게 Notch Filter로 주파수 한 영역대를 제거하는 중이다.
Surgical, 즉 ‘수술의’, ‘외과의’같은 수술과 관련된 모든것을 의미 한다. 수술을 할 때 아주 정교한 도구가 있어야 몸 안에 생긴 종양을 꺼내든, 총알을 빼내든, 정교한 일을 할 수 있기 마련이다.
방금 예시와 같이 상업적으로 사용 할 소리에 청취자가 듣기 거슬려하는 소리가 있어서는 안된다. 현재 유통되는 과일이 못생겨 보이거나 생채기가 하나라도 있으면 ‘B급 농산물’로 분류되어 백화점이나 대형마트에서 팔지 않는것처럼 말이다.
이전 게시글에다 업로드 한 Ozone 11 Advanced EQ 사진, 스크린샷 찍기 귀찮아서 가져왔다.
그러기 위해서는 Q값을 높게 올려 타겟 주파수 영역대를 매우 좁게 만들 수 있으면서도 정확하게 문제가 되는 주파수를 수정할 수 있어야 한다. 반대 상황으로도, 사용자가 설정한 타겟 주파수를 얼마나 정확하게 증가시켜 주는지도 관건이다.
따라서 Surgical EQ는 타겟 주파수, Q값과, dB 조절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기능을 제공해준다면, Surgical EQ로 분류 가능하다.
하지만 정교하게 편집하기 위해 Q값을 과도하게 높이거나, 급격한 Slope를 적용시킨다면, EQ를 적용한 위상이 원래 신호에 비해 뒤쳐지거나 앞당겨지는 Phase Shift 현상이 일어난다. Phase Shift 현상은 현재 게시물의 EQ 사용중 주의사항과 팁에서 알아 볼 예정이다.

Musical EQ (Tonal EQ)

WAVES에서 만들어진 ‘SSL G-Equalizer’
Musical EQ 또는 Tonal EQ라고 부른다.
Musical은 음악과 관련된 거의 모든것들을 나타내는데, ‘음악’하면 관련된 단어들이 떠오르는 것들을 포함한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Tonal은 좀 더 음향 덕후스러운 냄새를 물씬 풍기는데, ‘음색’, ‘음조’와 같이 음악 혹은 음향의 한 영역에서의 세부적인 뜻을 가지고 있다. 해외에서는 ‘Musical EQ’보다 ‘Tonal EQ’를 더욱 자주 쓰는것 같다.
아무튼 단어의 뜻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Musical EQ는 Surgical EQ처럼 특정 주파수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사용 하는것이 아닌, 특정 영역대의 주파수를 넓은 Q값과 이용하여 편집자가 원하는 방향대로 소리의 음색을 조절할 때 사용된다.
그래서 대부분의 Musical EQ는 충분히 높지 않은 Q값을 제공하거나(Q값이 고정되어있을 수 있다.), 타겟 주파수를 제한적으로 조정 가능한 옵션을 제공해준다. (이것도 고정되어있을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았을 때, 충분히 적은 슬라이드를 가진 Graphic EQ도 Musical EQ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EQ 사용중 주의사항과 팁

EQ는 본인이 편집하고 싶은 소리의 영역대를 직접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 도구로써, 작성자에게 EQ는 편집자와 소리의 관계 사이를 아주 가깝게 이어주어 쉽게 영향을 끼치게 만들어주는 플러그인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소리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플러그인으로 알게 모르게 이상적인 소리와는 반대로 편집되거나 이상한 결과물을 만들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첫번째로, EQ를 다룰 때 주로 실수하는 두 가지부터 다뤄 볼 것이다.

주의사항

EQ를 사용할 때 EQ에 익숙하지 않다면 주로 실수하는 두 가지가 있다. 이 실수는 처음 EQ를 만져보거나, 소비자가 원하는 소리 자체에 익숙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현상이라 생각한다.
이건 작성자도 한 때 경험했던 것이며 더군다나 작성자는 그 때 EQ를 다 알고있다는 듯 거만하게 다뤄왔었다. 아무튼 이 두가지만 지키면 중간쯤은 갈 수 있을것이다.
또 EQ를 다루면 직면할 수 있는 Phase Shift 현상도 간단하게 설명 할 것이다.

귀로 듣지 않고 조절하는 실수

눈으로 대충 가늠 후 ‘이정도면 되겠지?’ 라는 생각으로 편집하는 예시를 구현한 사진
아마추어 작곡가, 엔지니어들이 가장 많이 실수하는것 중 하나이다.
특히나 Parametric EQ를 사용할 때 이 실수는 더욱 잦아지는데, 위 사진에서 보이는 회색 그래프가 보이는가? 저걸 ‘Frequency Response Curve’, ‘Spectrum Analyzer Curve’, ‘EQ Curve Analyzer’라고 부른다. 사진으로만 보면 그냥 서구권의 높은 산들을 연상시키는데, 실제로 움직이는것을 보면 매료되지 않을 수가 없다.
물론 전문가들은 먼저 귀로 소리를 듣고 문제를 파악한 후 Curve의 도움을 받아 빠르고 정확하게 문제가 되는 주파수를 바로 수정할 수 있다.
FL Studio에서 제공하는 Parametric EQ 2 또한 Curve를 보여준다.
아무튼 아직 주파수의 특성, 잘못된 소리의 예시, 제거해야 할 노이즈의 특성을 듣고 이해하는 과정을 충분히 훈련하지 않았다면, 소리의 좋고 나쁨을 판단하는 능력은 눈으로 옮겨갈 것이다. 왜냐면 사람은 주로 눈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기 때문이다.
만약 EQ를 지금 조절하고 있다면, 당장 Curve를 표시해주는 옵션을 꺼보자. 처음에는 가로로 꿈틀대는 지렁이를 포기하지 못할수 있다. 그렇다면 EQ를 무슨 기준으로 사용해야 하는지 답답해질 것이다.
그럴때는 귀부터 단련해보자. 처음에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분석 해보자. 그리고 Billboard의 차트에 게시된 음악들을 분석 해보아라. 그냥 감상하듯이 듣지말고, 분석하는 입장이 되어 고음역대는 어떤 분위기인지, 저음역대는 어떻게 깔끔한지, 중음역대와 보컬이 소리지르는 영역대는 어떤식으로 귀를 강타하는지 들어보자.
만약 가상악기를 다룰줄 아는 입장이라면, 음악의 한 악기를 최대한 비슷하게 따라서 만들어보자. 그 과정에서 가상악기에 탑재된 EQ를 최대한 사용하지 말되, EQ 플러그인을 직접 채널에 걸어 적용시켜보자. 충분히 도움이 될 것이다.

모든것을 부스트 시키는 실수

특정 대역이 비어있다고 생각하고 전 대역 주파수를 마구 올려버리는 상황을 재현한 사진
위에서 설명한 귀로 듣지 않고 조절하는 실수와 연계되어 시너지가 발생한다. 이 두개의 부정적인 시너지는 결국 최악의 결과물을 만들어버린다. 이 실수가 주로 발생되는 이유는 간단하다. 첫번째 이유는 믹싱환경이 85dB에서 90dB정도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두번째 이유로는 모니터링용 헤드폰이 아닌 하이파이 헤드폰, 청취용 헤드폰을 사용해서 그럴수도 있다. 세번째 이유는 감소의 차이가 잘 느껴지지 않아서 그럴수 있다.
사람의 귀가 소리의 크기에 따라 어떤 주파수 대역이 잘 들리고 잘 안들리는지 알려주는 그래프. By Lindosland - link
C-Weighted를 사용한 믹싱 환경을 조성해야 하지만, 더욱 기본적이고 근본적인것부터 다뤄보자.
사람의 귀는 등청감곡선을 기반으로 세상의 소리를 듣는다. 그래프가 아주 정확하지는 않겠지만, 여러 소리 전문가들이 모여 연구 끝에 만든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의 빨간 선을 따라가보면, 같은 주파수 일지라도 다른 크기로 소리가 들린다. 예를들어, 1kHz - 20dB로 듣는 소리는 40Hz에서 70dB로 들어야 같은 볼륨이라고 느낀다.
등청감곡선의 업데이트 버전인 Fletcher-Munseon곡선, 국제표준화기구 ISO에 226:2003으로 기준이 되었다. By Lindosland at en.wikipedia - This drawing was created with LibreOffice Draw., Public Domain, link
아무튼 저 곡선이 Fletcher-Munseon으로 업그레이드 된 후에 ISO의 기준으로 등재되었는데 아무튼 이건 다음 포스팅 떄 알아보도록 하고, 제일 중요한건 Fletcher-Munseon 곡선의 80과 100phon의 파란 곡선이 보이는가?
이 뜻은 사람의 귀가 70~90dBSPL에서 거의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의 볼륨차이로 인한 왜곡이 거의 동등해진다. 하지만 90dBSPL정도의 소음이면 ‘지하철 내부 소음’ 수준이거나 ‘큰 트럭’ 정도의 소음에 해당하는 매우 큰 소리다. 사람과 사람의 대화에서 좀 크게 말해야 들리는 수준이라는 뜻인데, 소리가 너무 크면 청력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지니 매우 주의해야 한다. 1시간 듣고 10분 쉬는걸 생활화 하자.
어쨌든 이정도의 소리의 크기로 들어야 어떤 주파수 대역에서 무슨 문제를 일으키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작게 소리를 들었을때 위에서 보이는 곡선으로 인해 평탄하지 않은 믹싱환경을 조성하여 밸런스가 틀어진 결과물을 낳거나 너무 소리가 작은 나머지 모든걸 EQ로 키울 가능성이 높아진다. 더군다나 모니터링용 헤드폰을 사용하는게 아니라면 믹싱 결과물이 더욱 왜곡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EQ로 소리의 문제를 해결하려 할 때, 좋은 소리가 들리는 주파수 영역대를 증폭시키는게 아닌 나쁜 소리가 들리는 주파수 대역을 세심하게 줄이거나 없애야 한다. 예를들어 마이크와 녹음실 부스의 특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공진음, “파-파”같은 소리를 낼 때 나타나는 파열음, 너무 부각된 중음역대, 귀가 피로해질 정도로 크게 녹음받아진 고음역대를 제어하는것이 편집자가 듣기에 좋은 소리들을 증폭시키는 것 보다 유리하다.

Phase Shift 현상

같은 클립중 하나를 EQIII 7-Band Low Cut을 AudioSuite로 적용시킨 사진, 위상이 많이 틀어진걸 볼 수 있다.
EQ를 사용하면 위상이 앞이나 뒤로 옮겨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냥 소리가 EQ적용 후 앞이나 뒤로 옮겨지는 현상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EQ를 사용하는 중, Phase Shift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대부분의 EQ에 IIR(In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가 적용되서 그렇다. Shifting의 주된 원인인 IIR필터가 샘플 처리를 위해 피드백 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영역들이 필터를 통과하는 속도가 서로 달라 Shifting 현상이 생기게 된다.
Phase Shift 현상은 특히 여러 클립을 겹치는 레이어링 중 예기치 못하게 Comb Filtering 효과를 일으킬 수 있으면서도 음색이 심하게 바뀔 수 있다. 또한 위 사진처럼 위상이 거의 180도 틀어져 버린다면, 저음이 그대로 날라갈수도 있는 상황이다. 또한 소리의 좌우 넓이, 즉 Stereo Image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는데, 의도되지 않게 흐려지거나 소리의 중심이 불분명확해질 수 있다.

EQ Solo Mode

EQIII 7-Band는 Mac 기준 Control + Shift + Freq Knob 클릭으로 Solo Mode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EQ에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주지만 EQ 솔로모드는 주파수 특성을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 주면서도, 문제가 생긴 주파수 영역을 빠르게 찾을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다. EQ마다 솔로모드를 활성화 하는 방법은 제각각 이지만, 메뉴얼을 찾아보면 쉽게 알 수 있다.

EQ Cheat Sheet

‘EQ cheat sheet’를 구글에 검색한 결과. 수많은 EQ cheat sheet가 인터넷에 올라와 있다.
EQ Cheat Sheet는 특정 악기, 소리 또는 보컬이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을 특정 영역으로 나눠 어떤 구간에서 어떤 소리가 나고, 그 영역대를 줄이거나 키웠을때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 간략하게 설명해주는 가이드이다. 모든 소리의 특성을 기록할수 없지만 이 sheet를 참조하는 입장에서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것이다.
주파수 영역대와 EQ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에겐 매우 유용한 정보이다. 또한 sheet를 보고 특정 소리의 주파수 영역대를 빠르게 참조할 수 있기도 하여 작업속도를 높일 수 있기도 하다. 하지만 모든 소리는 sheet에 따라 정확하게 작동하지 않는다. 대체로 얼추 들어맞을수 있겠지만, 모든 소리는 서로 다른 질감을 가지고 있기에 직접 귀로 들어보며 판단하는게 정답이라고 생각한다.
최신글
Search
Compressor의 기본
Compressor의 기본